커뮤니티

분류1

자유게시판

제목

[우리말 바루기] 수저 이야기

금수저·흙수저가 일상적인 언어로 자리 잡았다. 열에 아홉은 수저 계급론을 부인할 수 없는 우리 사회의 현실이라고 인정한다는 설문 결과도 있다. 물고 태어난 수저 색에 따라 개인의 인생이 좌우된다는 것을 체감한다는 방증이다.
 
‘수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아울러 이를 때 사용하지만 금수저·흙수저처럼 숟가락을 달리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숟가락만을 가리켜 수저라고도 하는데 외려 잘못 쓴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숟가락과 젓가락의 받침을 두고도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바늘과 실처럼 짝을 이루어 사용해서 ‘수저’로 불리고 둘 다 똑같은 가락인데, 받침이 ‘ㄷ’과 ‘ㅅ’으로 다른 이유는 뭘까. 숟가락은 퍼 먹기 좋은 모양이고 젓가락은 집기 편한 모양이라는 건 우스갯소리다.
 

‘젓가락’은 한자어 ‘저(箸)’에 순우리말 ‘가락’이 더해진 단어다. [저까락]으로 된소리가 나므로 사이시옷 규정에 따라 사이시옷을 넣어 준다. 여기에 영향을 받아 ‘숟가락’을 ‘숫가락’으로 잘못 표기하기도 한다. 젓가락처럼 [숟까락]으로 된소리가 나므로 ‘수’에 ‘가락’이 붙은 말로 생각하기 쉽지만 ‘숟가락’이 바른 표기다. 젓가락은 ‘저+가락’이지만 숟가락은 ‘술+가락’으로 구조가 다르다.
 
“밥 두어 술 더 뜨고 나가”라고 할 때의 ‘술’과 ‘가락’이 결합한 구조다. 이를 ‘숟가락’으로 적는 것은 한글맞춤법 제29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ㄷ 소리로 나는 것은 ㄷ으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서다. 원래 ㄹ 받침을 갖고 있던 말이 다른 말과 결합하면서 ㄹ이 ㄷ으로 변하고, 그 말이 사람들의 입에서 굳어졌다면 굳이 어원을 안 밝히고 굳어진 발음대로 표기한다는 것이다. 숟가락은 수에 ㄷ이 붙은 게 아니라 ‘술’이 ‘숟’으로 변한 말이다.
 
우리말에는 이런 사례가 여럿 있다. 섣달(설+달), 이튿날(이틀+날), 사흗날(사흘+날), 반짇고리(바느질+고리), 섣부르다(설+부르다)가 대표적이다.
 
이은희 기자 lee.eunhee@jtbc.co.kr

[출처: 중앙일보] [우리말 바루기] 수저 이야기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naver21

등록일2020-05-06

조회수3,418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인쇄하기
 
거친 말, 욕설, 모욕 등은 삭제 처리될 수 있습니다.
댓글로 인해 상처받는 분이 없도록 서로 예의를 지켜 주시기 바랍니다. ~ ♬
스팸방지코드 :
번호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1963동영상 숙면에 좋은 2분 스트레칭

따봉브라질

2014.10.029,823
1962동영상 오바마 연설 도중 한인 대학생이 발언

adidas

2014.10.0211,301
1961자유게시판 `드라마 다시보기` UCC [실제 말고기 유통현장 극 혐오..

수명

2014.10.0315,521
1960동영상 감동적인 김연아 마지막 쇼트프로그램 有

adidas

2014.10.0411,291
1959자유게시판 구워먹으면 더 좋은 채소 & 과일

areal1234

2014.10.0412,598
1958자유게시판 대한민국 사이트 가장 정확한 순위

areal1234

2014.10.0412,749
1957자유게시판 아이디어 여행용품

adidas

2014.10.0413,299
1956자유게시판 비정상회담 출연료

오뚜기

2014.10.0413,298
1955자유게시판 식물은 결코 포기하지 않는다.

adidas

2014.10.0413,409
1954자유게시판 군 출신별 몸매

BANANA

2014.10.0410,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