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분류1

자유게시판

제목

헤르만 헤세 싯다르타 리뷰 모음

http://blog.daum.net/windada11/8769205

 

https://www.artinsight.co.kr/news/view.php?no=26984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631459.html 

 

https://mindeater.tistory.com/2068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065825#none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는 일반적으로 불교소설로 이해되고 있다. 하지만 이 소설이 과연 불교적인가에 관해서는 대답하기가 쉽지 않다. 여기에는 기독교인으로서 정신적 세계에 일찍 눈 떴던 헤세가 ‘인도에서 불교로, 불교에서 중국으로’ 그의 관심을 옮겨갔던 종교적 편력과 연관이 있을 것이다. 또한 『싯다르타』에 나타나는 불교적 특징을 고대 인도의 전통과 묶어서 설명하거나, 중국적 전통과 함께 동양의 지혜로 간주하는 경향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불교의 교리적 관점에서 『싯다르타』의 작품세계를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소설 『싯다르타』는 정신적 세계와 세속적 세계, 그리고 깨달음의 세계로 가는 3단계로 구성된다. 1부와 2부 사이에는 소설의 내용적 차이뿐만 아니라 현실을 바라보는 시선도 달라져 있는데, 여기에는 세속의 번뇌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초기불교의 가르침과 달리, ‘세속적 번뇌가 곧 깨달음’이라고 말하는 대승불교의 흔적을 뚜렷이 찾아볼 수 있다. 불교의 교리적 관점에서 『싯다르타』를 바라본다면, 아트만을 추구하던 싯다르타가 자아의 소멸을 위해 고행하며 자아를 부정하는 것에서 불교의 무아사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아가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라는 중도적 관점도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싯다르타의 궁극적 깨달음이 새로운 자아의 탄생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자아에 대한 관념 자체를 벗어나야 한다고 말하는 불교적 관점과는 차이가 있다. 강가의 깨달음에서 싯다르타는 하나의 돌멩이에서 삼라만상의 모든 것이 걸림 없이 존재하는 단일성의 세계를 경험한다. 그가 말하는 단일성의 세계는 사물과 사물이 상입하고 상즉하는 사사무애(事事無碍)의 화엄법계에 닿아 있음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s a Buddhist analysis on Hermann Hesse"s novel Siddhārtha. It"s difficult to ascertain the religious characteristic with one thing, because of his wanderings "from India to Buddhism" and "from Buddhism to China". Therefore it needs to examine closely through the Buddhist doctrine. Siddhārtha is composed with three stages; the spiritual world, secular world and enlightenment world. Between part 1 and part 2, there exists a significant gap in the viewpoint on the mundane world. Unlike the teaching of Early Buddhism, Mahāyāna Buddhism says that the anguish is not different from the enlightenment. It seems that this teaching of Mahāyāna Buddhism provide mental stimulation to Hermann Hesse, who concerned about the reality of Europe and wanted to find utopia. First as a son of brahman Siddhārtha pursues the self, namely ātman. But he joins with śramaṇa and takes asceticism for the self extinction. Here we can find the doctrine of Buddhism, namely anātman. However his ultimate enlightenment is concluded to the rebirth of self. In this point there is a distinction from Buddhism, saying that it should be rid of the concept of self. Finally Siddhārtha attains an enlightenment, he experiences the world of unity. When he sees a stone in the river, he becomes to penetrate the everything of the universe. It means the realm of unhindered mutual inter-penetration of phenomenon and phenomenon, namely the universe of Huayen.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naver21

등록일2020-04-09

조회수3,563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인쇄하기
 
거친 말, 욕설, 모욕 등은 삭제 처리될 수 있습니다.
댓글로 인해 상처받는 분이 없도록 서로 예의를 지켜 주시기 바랍니다. ~ ♬
스팸방지코드 :
번호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28자유게시판 하루에 한줄

따봉브라질

2014.08.0715,110
27자유게시판 7월 방문자수 (2014년)

따봉브라질

2014.08.0614,937
26자유게시판 한국어교육 도움되는 사이트입니다! 1

happy

2014.10.1816,442
25자유게시판 교황 프란치스코, 행동으로 마피아에 맞서다

adidas

2014.08.0415,287
24자유게시판 독일의 등록금

따봉브라질

2014.08.0213,385
23자유게시판 애국심도 남다른 김연아

adidas

2014.08.0115,288
22자유게시판 비정상회담 - JTBC

따봉브라질

2014.07.3015,902
21자유게시판 화장품 회사가 알려주지 않는 진실

따봉브라질

2014.07.3016,926
20자유게시판 성장을 위한 철학 노트

adidas

2014.07.2520,648
19자유게시판 세월호, 72시간의 기록

collins

2014.07.2421,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