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분류1

자유게시판

제목

[단독] 접종 여부 상관없이 입국 전 코로나 검사 폐지

국내 입국 전 코로나19 검사 폐지가 예방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입국자에게 일괄 적용된다.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에서 활동하는 한 전문가는 30일 “일본이 다음달부터 3차 이상 접종자에 한해 입국 전 검사를 면제하기로 했지만, 우리는 미접종자든 3차 이상 접종자든 똑같이 입국 전 검사를 하지 않도록 지침을 개선하자고 정부에 권고했다”고 밝혔다. 이 전문가는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 3차 접종을 한 이들의 면역이 다 떨어져 미접종자와 구분할 필요가 없는 데다, 미접종자만 입국 전 검사를 받게 하면 방역패스와 같은 미접종자 차별 논란이 벌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처럼 ‘3차 이상 접종자만 입국 전 검사 폐지’로 제한을 두면 불필요한 혼란만 가중될 것이란 설명이다. 이에 따라 입국 전 검사 폐지는 ▲코로나19 예방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입국자 일괄 적용 ▲모든 국가에 동일하게 적용 ▲입국 후 검사 강화 ▲추석연휴(9월 9~12일) 이후 시행으로 결론 날 것으로 보인다.

방역 당국은 지난달 초 시작한 코로나19 재유행이 이달 셋째 주(14~20일)에 정점 구간을 지난 것으로 판단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월 넷째 주인 지난주(21~27일) 코로나19 주간 확진자가 전주 대비 13.8% 감소해 하루 평균 약 11만명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감염재생산지수는 이달 셋째 주 1.06에서 지난주 0.98로 내려왔다. 유행이 억제되고 있다는 의미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당분간 유행은 서서히 감소할 것으로 보이지만, 감염 후 2~3주 정도 시차를 두고 나타나는 위중증과 사망 사례는 당분간 정체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확진자는 11만 5638명, 위중증 환자는 591명이다. 지난주 전문가들이 내놓은 분석에 따르면 위중증 환자는 최대 580~850명, 일 사망자는 향후 한 달간 평균 60~70명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방대본은 “특히 비수도권 중환자실 의료역량대비 60세 이상 발생 비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4주 연속으로 전국·수도권은 ‘중간’, 비수도권은 ‘높음’으로 평가했다. 전체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 비중은 23.7%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평균 처방률은 23.6%로 여전히 20%대를 맴돌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 중 재감염자 비율은 7.64%로, 전주(6.65%)보다 0.99% 포인트 올랐다. 누적 재감염자는 30만 73명이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831002010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naver21

등록일2022-08-31

조회수10,003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인쇄하기
 
거친 말, 욕설, 모욕 등은 삭제 처리될 수 있습니다.
댓글로 인해 상처받는 분이 없도록 서로 예의를 지켜 주시기 바랍니다. ~ ♬
스팸방지코드 :
번호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1342자유게시판 기적같이 찾아오는 봄

quatro

2014.07.1224,994
1341자유게시판 남겨진 것들의 귀환1

adidas

2014.07.1526,563
1340자유게시판 콜탄 - 휴대폰과 콩고의 비극

adidas

2014.07.1921,560
1339자유게시판 죽음에 관하여

adidas

2014.10.1818,870
1338자유게시판 말레피센트 - 영화 추천

adidas

2014.07.2119,157
1337자유게시판 2014년 브라질 월드컵이 끝나고

따봉브라질

2014.07.2222,710
1336자유게시판 Santa Casa 병원에 기부하기

따봉브라질

2014.10.1815,972
1335자유게시판 아가씨땐 몰랐던 이야기

따봉브라질

2014.07.2416,995
1334자유게시판 삼성 이건희 회장 어록

adidas

2014.07.2423,070
1333자유게시판 세월호, 72시간의 기록

collins

2014.07.2421,310